티스토리 뷰


  당근과 채찍 크레스피 효과




안녕하세요. 오늘은 크레스피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크레스피 효과란 보상이나 체벌의 강도가 점점 강해져야 일의 생산성이 계속해서 증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말합니다. 







보상함으로써 원하는 행동을 유도하려면, 보상의 양을 점점 더 늘리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반대로 체벌을 함으로써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줄이려고 한다면 점점 더 체벌의 강도를 높여야만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당근과 채찍


당나귀를 계속 달리게 하기 위해 눈앞에 당근을 매달고 채찍을 휘두르는 '당근과 채찍'은 보상과 벌점을 비유하는 가장 보편적인 용어입니다. 1942년 미국의 심리학자 크레스피는 일의 능률을 올리기 위해 당근과 채찍이 효과를 보려면 점점 강도가 세져야 함을 실험으로 입증하였습니다. 








일상 속 크레스피 효과 


교육 현장과 경영관리에서 크레스피 효과의 예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당근을 도입해서 처음 시행하면 효과를 볼 가능성이 높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원래의 상태로 돌아갑니다. 크레스피 효과는 영속성을 얻기 힘든 관리방법입니다. 사기를 높이려고 해도 기대심리 또한 점점 커지게 되는 것입니다.



팁 문화와 크레스피 효과


팁은 손님이 종업원으로부터 보다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주는 인센티브입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당연히 주는 것으로 받아들입니다. 크레스피 효과의 단점은 보상의 강도를 점점 높여가면 문제가 없지만, 중지되었을 때는 매우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납니다. 심지어 크레스피 본인도 팁 안주기 운동을 벌이고 외식을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크레스피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행복하고 건강한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공감(하트)를 눌러주면 작성자가 기운이 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