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보이스피싱 사례와 유형 종류 예방법

보이스피싱이란 말 자체는 사람들한테 많이 알려져 있지만,  점점 수법이 발전되고 교묘해져서 아직도 보이스피싱에 피해를 입는 사례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보이스피싱의 사례와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이스피싱 유형 사례


납치,협박형

-사기범은 자녀를 둔 부모에게 전화를 걸어 "딸을 납치하였다, 또는 아들이 병원에 입원하였다" 라는 식으로 속인뒤 돈을 보내주지 않으면 장기를 적출하겠다, 또는 치료비가 필요하다는 식으로 협박을 합니다. 



정부기관 사칭형

-보통 사기범은 검찰이나 경찰을 사칭합니다. 범인이 전화받은 사람의 계좌를 대포통장으로 이용하고 있어서 조치가 필요하니 금융감독원에서 관리하는 계좌로 돈을 이체하라는 식으로 유도해 사기범의 대포통장으로 돈을 입금하게 만듭니다.




대포통장 확보형

-사람인이나 알바몬같은 사이트에서 구직신청을 하면, 사기꾼 회사에서 급여를 줄 월급통장과 신분증이 필요하다고 하여 개인정보를 넘겨주면, 그것을 대포통장으로 이용합니다. 




대출빙자형

-사기범이 어디 대출회사, 00캐피탈 직원이라고 합니다. 전화받은 사람의 신용등급이 낮지만 저금리로 대출이 가능하다고 속여 대출진행비와 선납 이자를 요구합니다. 전화받은 사람이 송금을 하면 이를 편취하고 잠적합니다.



보이스피싱 예방법

정부기관을 사칭한 전화 주의

-검찰, 경찰, 금융감독원, 국세청 등에서 전화로 자금의 이체나 금융거래 정보를 요구한다면 해당 기관의 대표 전화로 사실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가족이라도 금전 요구는 다시 확인

-가족이나 친구라 확신이 들어도 유선이나 메신저상으로는 사기범일지 모르니, 다시 한번 유선으로 본인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의심스런 파일

-출처가 의심스러운 메일 파일, 음란물 등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문자는 클릭할 경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악성코드가 깔리므로 즉시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금융감독원은 절대 금융거래정보를 궁금해하지 않는다

-금융감독원에서는 절대 일반인들의 금융정보를 궁금해하지 않습니다. 금융거래정보 입력요구는 무조건 보이스피싱(파밍)입니다.





대출 요구 전화나 문자

-전화나 문자를 통한 대출 모집은 피하세요. 반드시 해당 금융회사가 실제 존재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취업이 급해도 급여계좌개설,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기업은 의심부터

-정상적인 기업은 채용절차 도중에 절대 금용정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대출 선입금 요구

-정상적인 금융회사라면 어떠한 명목으로도 대출과 관련해 선입금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위의 사례들을 다 조심하더라도 보이스피싱 피해는 방심한 사이에 언제든지 당할수 있습니다. 사기범에게 자금이체를 했다면, 예금 인출을 막기위해 신속하게 해당 은행에 전화해 지급정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그리고 경찰서에 피해 신고를 하고 은행에 피해금 환급 신청을 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보이스피싱 사례와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